소방의 역사 1

소방의 역사

소방공무원 목차로 돌아가기

대한민국 소방의 역사

출처 : 소방청에 공개되어 있는 한국소방행정사 

출처 : 소방청 기관의 연혁

(1426) – 세종8 – 금화도감, 수성금화도감 (성문도감과 금화도감을 수성금화도감으로 병합)

(1481) – 수성금화사

(1894) – 경무청 설치

(1922) – 경성소방소 설치

(1946) – 미군정 – 중앙소방위원회 설치 – 도 소방위원회 설치 – 시,읍,면, 소방부 설치
(경찰로부터 독립하여 자치소방체제)

(1948) – 내무부의 치안국 내 소방과 설치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가소방체제)

(1961) – 내무부의 치안국 내 소방과 설치

(1975) – 내무부의 민방위본부(소방국) 설치 (국가, 자치 이원 소방체제)

(1978) – 소방공무원법 제정 – 소방학교 설치

(1992) – 시,도 소방본부 설치 ( 광역 시도 자치소방체제)

(2004) – 소방방재청 설치 (국가, 광역시도 자치 이원 소방체제)

소방방재청 이후 (2014)국민안전처, (2017)소방청, (2020)국가소방공무원

 

소방의 역사 기출문제

2024년 01번. 소방 조직의 설치가 시기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내무부 소방과 → 내무부 소방국 → 도 소방위원회 → 시·도 소방본부
  2. 도 소방위원회 → 내무부 소방국 → 시·도 소방본부 → 소방방재청
  3. 중앙소방위원회 → 내무부 소방국 → 도 소방위원회 → 소방방재청
  4. 내무부 소방국 → 중앙소방위원회 → 소방방재청 → 소방청
해설

위의 소방의 역사 요약을 보면

도 소방위원회(1946) → 내무부 소방국(1975) → 시·도 소방본부(1992) → 소방방재청(2004)

 

2024년 02번. 소방행정조직의 발전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426년(세종 8년)에 독자적인 소방 관리를 위해 금화도감을 설치하였으며 이후 성문도감과 병합하여 수성금화도감으로 개편하였다.
  2. 1894년에 경무청이 설치되고, ‘소방’이란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3. 1948년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국가 소방체제로 전환하면서 소방행정조직이 경찰에서 분리되었다.
  4. 2017년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국민안전처를 해체하고 소방청을 개설하였다.
해설

3. 1948년 내무부 치안국 내 소방과 설치로 3번이 틀린답변

 

2023년 1번. 우리나라 소방행정체제의 변천과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소방위원회 설치(1946) 당시에는 자치소방체제였다.
  2. 정부수립(1948) 당시에는 국가소방체제였다.
  3. 중앙소방학교 설립(1978) 당시에는 국가소방과 자치소방의 이원적 체제였다.
  4. 대구지하철 화재 발생(2003) 당시에는 국가소방체제였다.

 

해설

4. 광역 시도 자치소방체제를 유지하다가 대구지하철 화재 발생 이후 소방방재청이 설치되며 국가, 광역시도 자치 이원체제로 발전

2021년 4번. 우리나라 소방의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고려시대에는 소방(消防)을 소재(消災)라 하였으며, 화통도감을 신설하였다.
ㄴ. 조선시대 세종 8년에 금화도감을 설치하였다.
ㄷ. 1915년에 우리나라 최초 소방본부인 경성소방서를 설치하였다.
ㄹ. 1945년에 중앙소방위원회 및 중앙소방청을 설치하였다.

① ㄱ, ㄴ, ㄷ    ② ㄴ, ㄷ, ㄹ    ③ ㄱ, ㄷ, ㄹ    ④ ㄱ, ㄴ, ㄷ, ㄹ

해설

ㄷ. 경성소방서는 1922년 최초 설치

ㄹ. 중앙소방위원회 및 중앙소방청은 1946

 

소방공무원 목차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

인덱스